throws 2

2022.03.21 예외 처리

첫 강의는 예외 처리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예외처리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떠할 때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선 예외 처리가 왜 등장했느냐 바로 객체 지향의 특성 때문입니다 객체지향 그리고 예외처리 이 그림은 보면 A 라는 객체는 B , C , D 랑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객체지향은 다양한 연결점이 있기에 다양한 오류 상황이 생깁니다 이런 상황에서 처리를 Return 이 아닌 새로운 방향을 찾은 것이 바로 예외처리입니다 그렇다면 왜 Return 이 아니라 예외처리를 이용할까요? 그것은 Return 은 제한성이 강합니다 그렇게에 사용할때 또한 제한적이죠 그렇지만 예외처리는 그런 면에서 굉장히 자유도가 높습니다 그렇게에 사용되는 것이죠 예외 예외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바로 예외 처리하기 와 예외 던..

2022.03.12 투표 유권자 패키지

유권자(Voter) 메서드의 작성 순은 VO -> DAO -> Service 순으로 진행했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필요한 정보 기능들은 주석으로 표기했습니다 VoterVO @AllArgsConstructor //생성자 @Getter //읽기 전용이기에 값을 복사만 하는 Getter을 사용 @ToString public class VoterVO { // int 는 기본값이 0 이다 Integer 은 기본값이 null이다 //int 는 기본값이 0 이기에 산술연산이 가능 // Interger은 특별한 작업을 해는것이 아니면 산술연산 불가 기본값이 null이기에 // 인스턴스 variable은 다 private 설정 private Integer vno; //유권자 번호 이 번호는 사실 주민번호의 역할이다 pr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