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자 성장 일지

2022.03.29 수업일지

NEWDODORIPYO 2022. 3. 29. 20:26

오늘도 로직을 만드는 것보다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

확실히 설계단계에서 꼼꼼하게 설계를 하니 코드를 작성할 때 편안하게 작성했던 것 같습니다

오늘 강의때 나온 개념들과 todo를 만든 설계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

MVC

모델 2를 MVC 방식이라고도 부름

MVC는 Model, View, Controller의 약자입니다. 하나의 애플리케이션,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 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입니다.

Query String

사용자가 입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, url 주소에 미리 협의된 데이터를 파라미터를 통해 넘기는 것을 말한다.

“ [http://host:port/path? querystring](http://host:port/path? querystring) “

query parameters( 물음표 뒤에 = 로 연결된 key value pair 부분)을 url 뒤에 덧붙여서 추가적인 정보를 서버 측에 전달하는 것이다. 클라이언트가 어떤 특정 리소스에 접근하고 싶어 하는지 정보를 담는다.

PRG 패턴

P : POST

R : Redirect

G : Get

웹 개발 패턴 중 자주 쓰이는 패턴으로 HTTP POST 요청에 대한 응답이 또 다른 URL로의 GET 요청을 위한 리다이렉트(응답 코드가 3XX) 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
즉, 쉽게 설명하면 POST 방식으로 온 요청에 대해서 GET 방식의 웹페이지로 리다이렉트 시키는 패턴을 말한다.

설계

모델 2 구조로 설계한 TODO

 

jsp 파일은 해당 컨트로롤러 서블릿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

 

response : 시스템 내부에서 브라우저로 보내거나 처리해야 하는 것들 <post>

“response.sendRedirect( <url> ); “ - Redirect 하라고 response 해주는 메서드 <토스>

 

request : 브라우저에서부터 서블릿으로 보내지는 정보들

“request.getRequestDispatcher( <**. jsp>);” - 브라우저의 request를 Dispatche <전달>해주는 메서드

 

⭐Servlet 응답 정보 처리

HttpServletRequest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 요청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이고,

HttpServletRespons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보내는 응답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