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일지 2

2022.03.12 반성 다짐 그리고 설계

순서상으로는 투표 로직을 이어서 업로드했어야 하지만 로직을 만들고 공부를 하면서 로직을 쓰고는 있는데 전혀 이해 못 하고 작성하는 느낌이 들어 공부했던 것을 전부 삭제했습니다 기존 방식이 적합한 방법이 아닌 것 같아 로직의 설계부터 차근차근 다시 시작해 보려합니다 강사님은 로직을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로직을 설계하는 것이라고 강조해서 말씀해주셨는데 정말 맞는 것 같습니다 설계가 정확하게 머리에 없으니 강의 시간에 했던 로직에서 조금이라도 응용해야 하는 부분이 생기니 멍~ 해지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설계부터 다시 차근차근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선 투표자 시스템을 만들려고합니다 목표 유권자가 후보의 목록을 보고 투표를 한다 그리고 투표 결과가 나온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권..

2022.03.10. 투표 서비스 < 유권자 패키지>

유권자 패키지의 내용물도 후보자 패키지와 동일한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유권자 패키지는 voter 이란 이름으로 설정했습니다 voter의 domain 즉 VoterVO를 먼저 만들어보겠습니다 @AllArgsConstructor @Getter @ToString public class VoterVO { private Integer vno; private String name; } 후보자 패키지의 VO와 마찬가지로 @AllargsConstructor (모든 생성자) @Getter (읽기전용이기에) @ToString 를 lombok를 사용해서 만들어 주었습니다 유권자 번호로 사용할 con 유권자 이름의 name를 만들어주면서 VO는 끝이 났습니다!! 항상 VO는 쉬운데....ㅎㅎ;; VoterDAO public ..